모바일 메뉴 닫기
 

소식

Community

제목
첨단융합공학부 여종석 교수 탁월한 연세의 연구 역량,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키운다
작성일
2025.01.24
작성자
첨단융합공학부
게시글 내용

탁월한 연세의 연구 역량, 국가 산업의 경쟁력을 키운다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대학 지원사업, G-LAMP사업 등 선정
배터리공학과 이상영 교수, 바이오융합공학과 정형일 교수, 첨단융합공학부 여종석 교수, 지속가능미래과학연구원 최형준 교수


지난해 우리 대학교는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의 고급인재 양성과 기초과학 연구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 연구자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사업에서 다수의 프로젝트에 선정되며 연구중심대학으로서의 탁월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추진하는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배터리특성화대학원)’사업과 ‘첨단바이오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됨으로써 5년간 각각 150억 원, 187억 원을 지원받는다. 또한 급증하는 반도체산업의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서도 반도체 특성화대학 부문에 선정됨으로써 4년간 160억 원의 지원을 받아 첨단반도체 인재를 양성한다. 이로써 우리 대학교는 배터리공학과, 바이오융합공학과 등 일반대학원 내 특성화 학과와 학부과정인 첨단융합공학부 내 지능형반도체전공을 신설하고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 인재 양성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됐다.


아울러 우리 대학교는 기초과학 역량을 강화하고 세계적인 연구자를 양성해 대학을 글로벌 수준의 기초연구 거점으로 육성하는 ‘G-LAMP사업(Global-Learning & Academic research institution for Master's/PhD students, and Postdocs)’에 선정돼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5년간 총 사업비 250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됐다. 이러한 대형 국책 사업들을 다수 수주함으로써 대학의 기본 소명인 교육과 연구에서 더욱 큰 성장동력을 얻고, 연구중심대학으로서 국가와 인류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공학과 이상영 교수, 바이오융합공학과 정형일 교수, 첨단융합공학부 여종석 교수, 지속가능미래과학연구원 최형준 교수 등 사업별 책임교원을 만나 프로젝트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비전, 사업 수주 과정 등에 대해 들었다.

*
산업통상자원부는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 석·박사 고급인재양성을 위해 분야별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성화대학원은 정부가 국가첨단산업을 이끌 석·박사 전문인력의 배출 규모를 확대하고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지정·지원하는 것으로, 산업계 수요기반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중심의 교육, 산업계 전문가 교원을 활용한 현장밀착교육 등을 진행하며 배출인력에 대해 채용 매칭, 취업 컨설팅 등 사후관리까지 지원한다. 첨단산업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연구 장비 등 교육환경 구축, 교육과정 개발·운영, 기업과 연계한 산학프로젝트 추진비 등 재정지원을 받게 된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우리 대학교는 ‘배터리특성화대학원’과 ‘첨단바이오산업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반도체특성화대학, 첨단융합공학부 지능형반도체전공

정부는 반도체 산업의 급증하는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3년부터 대학이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학사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 대학교는 2024년 7월 개별 대학이 인재 양성 계획을 수립하는 단독형 특성화대학에 선정됐다.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은 소자·공정 및 회로·시스템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교육 및 연구 환경을 구축하고 산업체와의 협력 강화와 실무 중심 교육을 통한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인재 양성에 나서게 됐다. 이에 따라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은 국제캠퍼스 첨단융합공학부 내 지능형반도체전공을 신설하고 학부 신입생을 모집했다. 아울러 전기전자공학부와 물리학과 등 여러 학과들과 협력해 소자·공정 및 회로·시스템 특성화 융합전공을 신설하고 교내 학부생들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Q. 신설된 지능형반도체전공은 직제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교육부의 첨단분야 학부 정원 순증 정책에 따라 2025학년도 1학기부터 ‘글로벌융합공학부’가 ‘첨단융합공학부’로 직제를 변경하게 됩니다. 기존 IT융합공학전공과 함께 지능형반도체전공을 신설해 반도체 주전공으로 운영하며, 선발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 지원과 함께 실무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돼, 석사에 준하는 연구 역량을 갖춘 반도체 전문 인재로 성장하게 됩니다.


지능형반도체전공은 IT명품인재양성사업의 교육 철학을 계승해 우수한 학생 개인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연구를 적극 지원합니다. 학부과정에서는 3년간의 융합교육과 개별연구, 통섭연구를 통해 역량을 키우며, 이를 4년간의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연계하는 속진형 교육과정을 추구합니다. 이를 통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의 첨단기술과 지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첨단지능형반도체 분야 융합인재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Q.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으로도 지능형반도체전공 수업을 들을 수 있다고요?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에서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인공지능융합대학, 공과대학, 이과대학의 물리학과 및 유관 학과와 연계한 ‘소자·공정 특성화 융합전공’, 전기전자공학부와 연계한 ‘회로·시스템 특성화 융합전공’을 신설해 우리 대학교의 모든 학과 학생들이 2전공으로 선택 가능한 반도체 분야의 개방형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은 당초 수도권 단독형으로 지원했으나 우리 대학교의 이원화 캠퍼스 특성을 반영해 신촌캠퍼스와 국제캠퍼스를 연계한 운영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본 사업을 통해 국제캠퍼스 첨단융합공학부와 반도체융합기술연구센터(Center for Integrated Semiconductor Technology)의 반도체 교육과 연구를, 신촌캠퍼스 비아이티마이크로팹연구소(BIT Micro Fabrication Research Center)와 전기전자공학부의 회로·시스템 교육 및 연구의 기반 시설을 확충하여 지능형반도체 주전공과 소자·공정, 회로·시스템 두 가지 특성화 분야에서 융합전공 교육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우리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의 큰 특징이자 강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다양한 전공의 우수한 학생들이 1차로 선발되어 반도체 분야 융합전공과 부전공에서 전문성을 쌓아가고 있습니다.

첨단융합공학부는 이번 특성화대학사업으로 신설된 지능형반도체전공 외에도 2023년 BK21 지능형반도체 혁신인재양성사업(단장 여종석)에 선정돼 대학원 지능형반도체 IT 융합전공을 개설한 바 있습니다. 우리 대학교는 특성화대학사업과 BK21 사업, 산업연계형 계약학과 등 반도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연구 사업의 운영을 통해 반도체 분야에서 선도적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연세공감 | 연세소식